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교통비 절감을 위한 기후 동행 카드란?

기후동행카드란?

 

서울시가 1월 23일 부터 월 6만원대에

지하철과 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

친환경 교통혁신 대중교통 정기권.

 

출처 : 서울특별시 공식블로그

 

판매 & 사용 시작일?

 

판매 시작일 : 1월 23일 오전 7시

사용 시작일 : 1월 27일 첫차부터

 

구입방법

 

실물카드 : 서울 1~8호선 지하철 고객안전실 또는 역사 인근 편의점 등에서 3천원에 구입 후

         티머니 카드&페이 홈페이지에서 등록 ▶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현금으로 충전.

모바일카드 : 모바일티머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.(안드로이드 폰만 가능) 

          회원가입 ▶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

          

출처 : 서울특별시 공식블로그

 

지하철은 서울지역 내 모든 구간에서 이용가능하며,

이용 제외구간은 : 신분당성, 서울지역 외 지하철, 광역/공항버스, 타지역 면허버스 입니다.

 

버스의 경우 서울시 면허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차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

지하철의 경우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통행카드 사용불가

 예) 종로3가(서울) 승차 → 인덕원 (경기) 하차, 기후동행카드 사용 불가, 하차역에서 역무원에 의해 별도 요금 징수.

 

기후동행카드 요금?

 

기본 기후동행카드 요금 : 62,000원

따릉이를 이용한다면?

3천원을 추가한 65,000원에 공공자전거 '따릉이'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용방법은?

 

지하철과 버스는 평상시 처럼 카드를 태그하는 곳에 태그해서 사용.

따릉이는 티머니Go 앱을 다운로드하여 사용.

 

 

국토교통부는 교통비의 20~53%가 환급되는 K-패스를 5월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.

기후동행카드와 K-패스의 차이점은?

기후동행카드는 65,000원으로 30일간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.

 

국토부 K-패스는 교통요금 구간에 따른 구분 없이 비율로 적립하여 환급

 *적립률 기준 - 일반 20% , 청년(만 19세 34세) 30%, 저소득 53.3%

 

경기도 The 경기패스는 K-패스와 적립률은 같지만 청년 기준 및 환급 가능 횟수가 다름.

  *청년기준은 만 19세 ~ 39세이며, 최대 환급 횟수가 무제한.

 

교통수단과 월 교통비에 따라 결정하시면 됩니다.

 

①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먼저 고려!

  - 제외되는 수단이나 노선이 다르기 때문에 대중교통 이용 패턴에 따라 골라주세요.

 

② 월 교통비 계산

  -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타지만 교통비가 65,000원 미만이라면 

    K-패스나 더 경기패스를!

  - 교통비가 65,000원 이상이라면 기후동행 카드를!

 

③ 교통비가 65,000원 이상이더라도 월 81,250원이 넘지 않는다면

    K-패스나 더 경기패스가 더 유리 할 수 있어요.

  - 한 달 교통비가 81,250원 이상 나오려면

     지하철 53회(1,550원기준) 이상 58회(1,400원 기준) 이상 이용. / 버스 54회 이상 이용.

 

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 퇴근하시는 분들은

계산 잘 하셔서 부담되는 교통비를 조금이나마 아끼세요~